본문 바로가기

자동차

차량쏠림에 관한 정리

반응형

안녕하세요! 운전을 하다보면 차가 옆으로 쏠리는 경우를 느끼신 적이 있으신가요?
차량 쏠림이란 직진 주행중 운전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차량이 한 쪽 방향으로 쏠리면서 차선을 이탈하려는 현상을 말합니다. 오늘은 책, 타이어 정복기를 통해 차량쏠림에 대한 정리를 해보고자 합니다.
 

차량 쏠림의 원인

먼저 원인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차량 쏠림의 원인은 크게 차량의 특성과 외부 인자의 영향으로 발생한다고 합니다.
단순공기압의 편차에 의한 쏠림, 횡단 경사에 따라 미세한 쏠림이 발생할 수도 있다고 합니다. 
 
1. 타이어 올림 방향 과다
2. 좌우 이종 제품 및 규격 장착(다른 규격의 타이어나 다른 제품의 타이어에 의한 쏠림 발생)
3. 차륜 정렬(얼라인먼트)불량
4. 좌우 공기압 편차 (3psi)
5. 차량 고유 쏠림 특성
6. 동력 전달장치 토크 스티어
7. 타이어 이상마모 
8. 부적합한 Tire와 Rim 결합
 

차량의 쏠림을 점검하는 방법 

4단계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1단계 - 공기압을 점검합니다. 주행 전 핸들의 액세서리(핸들 봉)을 제거한 후 규정 공기압으로 전후,좌우를 동일하게 조정합니다.
2단계 - 타이어 구조의 동일성을 확인합니다. 전후 이종 제품 및 규격 장착은 가능하나 좌우 이종 제품 및 규격 장착은 쏠림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3단계 - 차량의 하체를 점검합니다. 특히 쇽업소버와 스프링의 좌우 감쇠력 차이는 쏠림의 가장 큰 원인이 될 수 있으며, 동력 및 조향 전달 장치의 변형도 직진 주행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4단계 - 시험 주행을 통해 쏠림 현상을 관측하며, 쏠림의 정도를 확인하고 진단합니다.

이종 제품으로 인한 쏠림을 겪어본 적이 있습니다. 타이어를 가장 먼저 확인해야함을 느꼈습니다. 
 

핸들 정렬

바른 자세로 시트를 조정하고 핸들을 좌우로 가볍게 돌리면서 수평 상태를 정렬합니다.
시운전 코스에 진입한 후 80km/h의 정속 직진 상태에서 핸들의 정렬을 유지합니다. 
 

핸들 정렬 직후부터 직진중인 차량이 쏠림에 의해 옆 차선으로 이동되는 소요 시간을 측정합니다.
이때, 핸들을 꽉 쥐거나 놓지 말고 종료 시까지 돌발 사고를 대비하여 가볍게 쥐거나 얹고 있어야 합니다. 
소요 시간은 주행 환경에 따라 대응이 용이한 기준을 선택하여 상대 차선까지 도달시간을 측정합니다.
80km/h의 정속 직진 조건에서 동일 주행차로 내 양측 차선의 끝에서부터 끝까지의 이동 소요 시간이 6초 이하일 경우 차량 쏠림 현상이 없다고 판정합니다. 
 
단, 쏠림 판정 주행 시 차로 이탈 경고장치(LDWS) OFF 상태로 평가!
 
이번 주제는 저에게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쏠림의 기준을 설정하는 방법, 핸들을 정렬하는 방법, 쏠림의 원인 등 일을 하면서 겪는 부분에 대한 정리를 제대로 할 수 있었다고 생각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