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동차

타이어 혼합 장착시 주의사항

반응형

타이어 혼합 사용을 해도 괜찮을까요? 
타이어 혼합 사용에 관한 내용을 책, 타이어 정복기를 통해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타이어 혼합 장착시 주의사항
1. 제품 혼합 장착
①타이어 장착은 차량의 제조사 메뉴얼에 기술되어 있는 권장 사항을 필히 준수해야 합니다.
②동일한 규격, 제품 타임(Summer, All-season, Winter, All-terrain), 속도 등급, 하중 능력, 구조 (Bias, Radial)의 타이어가 장착되어야 합니다.
③신차 출고용 타이어를 OE라고 하는데, 타이어의 앞과 뒤 바퀴의 규격이 다른 경우는 제외 입니다. 
예) F 245/45R18 , 275/40R18 
 
2. 규격 혼합 장착
①타이어 규격의 혼합 장착이 불가피할 경우 반드시 동일한 축에는 동일한 규격의 타이어가 장착되어야 합니다. 
②ABS(Anti-Lock Brake System), TCS(Traction Control System), LSD(Limited Slip Differential), 4륜(4 Wheel Drive) 구동 형식이 기본 장착된 차량은 반드시 동일한 규격을 장착해야 합니다. 이와 같은 이유는 구동계에 상당한 무리를 줄 수 있고 고장날 위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③신차 출고용 타이어를 OE라고 하는데, 타이어의 앞과 뒤 바퀴의 규격이 다른 경우는 제외 입니다.
예) F 245/45R18 , 275/40R18 
 
3. 새타이어와 사용중인 타이어의 혼합 장착 (New and Old Tires Mixing)
①최적의 차량 성능(승차감, 소음, 직진성, 견인과 제동)을 유지하기 위해 동시에 4개의 새 타이어 교환을 권장합니다.
②부득이 2개만 새 타이어를 교환할 경우 신품을 장착하는 위치에 따라 그 성능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다음을 참고해야합니다.
 

전륜 구동 차량의 경우 견인력과 제동력이 앞바퀴에 더 많이 집중되므로 신품을 앞바퀴에 장착합니다.
후륜 구동 차량의 경우 추진력(노면 마찰저항)을 뒤바퀴에서 최대로 발생시켜야 하므로 신품을 후륜에 장착합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위 두 가지의 경우 언더 스티어(Under Steer)를 예방하기 위한 견인력 중심의 장착 위치를 추천합니다. 
회전 구간(코너링) 빗길 또는 마른 노면에서의 오버 스티어(Over Steer)를 예방(미끌림)하기 위해 후륜에 마모율이 좋은 제품을 장착해야 합니다. 

오버스티어와 언더스티어를 좀 더 찾아보니 스티어링 휠은 핸들을 말하며,
Steer은 조향을 뜻하며, 오버스티어는 과조향, 언더스티어는 반대로 가고싶은 방향으로 덜하게 꺾임을 뜻한다고 합니다.
핸들을 기준으로 생각하면 좀 더 꺾여들어가고 안꺾인다라고 생각하니 이 부분이 이해가 어려웠는데 조금 쉬워진 듯 합니다. 
 
 
 
오늘은 왜 타이어를 4개를 교체해야하는지, 왜 동일한 축에 같은 사이즈를 넣어야하는지, 새타이어를 끼우게 되면 전륜, 후륜에 끼우게 되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는 좋은 시간이 되었습니다.
앞으로의 저의 직업에서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은 내용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