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아

우리 아이 감정코칭 : 최성애 (HD 행복 연구소 소장)

반응형

 

 

 

오늘도 유튜브를 둘러보다가 <세상을 바꾸는 시간>에서 내가 주목할 만한 강연이 올라왔다. 최성애 HD 행복 연구소 소장의 <나의 초감정을 알아야 좋은 관계를 맺을 수 있다.>라는 제목으로 부모-자녀의 감정 교육에 대한 강연이었다.

요즘 우리 부모님들은 바쁜 하루를 보낸다. 그래서 우리 아이들의 이야기를 깊게 들어주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데, 어떻게 하면 우리 아이의 감정을 잘 지도할 수 있는지에 대해 알려주는 강연이다.

 

먼저 나는 감정 코칭에 대한 이야기를 전해 줄 것이다. 강연에서 최성애 소장님은 아이를 잘 키우기 위해서 감정코칭이란 것이 있다고 말한다. 하지만 아직까지 많은 부모님들이 감정 코칭에 대해 잘 모른다고 하였다.

 

감정코칭이란??

아이가 자신의 감정을 알아차리고, 스스로 바람직한 행동을 할 수 있도록 이끌어주는 양육법이다. 감정 코칭의 대가 존 가트맨 박사는 아이를 사랑하는 기술이라고 말한다. 또한 부모 역할은 사랑만으로는 부족하다. 사랑하는 방법을 배워야 한다고 말한다.

 

부모와 자녀 관계에서 나타나는 4가지 유형이 있는데, 다시 크게 2가지로 나눠 볼 수 있다. 그 2가지는 바로 감정 코칭형과 감정 일축형이다.

 

 

자, 7살의 딸이 좋아하는 인형을 잃어버린 상황을 그려보자.

감정 코칭형

그러면 딸은 이렇게 이야기할 것이다. "엄마! 내 인형이 없어졌어! 준서가 훔쳐갔나 봐! 준서 나빠! 때려줘! " 만약 당신이 감정 코칭형 부모라면 가장 먼저 아이의 말에 경청을 해준다. 그다음 "네가 아끼던 인형이 사라졌으니, 화가 날만 하겠다"라고 인정을 해주며, 조금 더 나아가 "엄마도 속상할 거야"라고 공감을 해준다면 아이는 자기감정에 수용이 되고 누군가가 자기 말을 잘 들어주고, 이해해 준다는 그 자체로도 감정이 차분하게 된다. 이러한 행동이 계속되면 아이는 엄마의 말을 신뢰하게 된다. 신뢰를 받게 된 상태에서 엄마는 "어떻게 하면 좋을까?"라고 말하며 아이를 올바른 방향으로 지도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아이가 "때려줘!"라고 하는 말이 있는데 친구를 때리거나 욕하는 것은 좋지 못한 행동이기 때문에 분명하게 행동의 한계를 그어주는 것이 중요하다.

 

감정 코칭의 핵심

감정 코칭의 핵심은 아이에 대한 지지가 있어야 지도가 잘 따라온다는 것이다.

 

 

감정 일축형

이번에는 같은 상황에서의 감정 일축형 부모 유형을 살펴보자.

 

ⓐ억압형 부모

억압형 부모는 같은 질문에 "뭘 그깟 일로 화를 내! 시끄러워!" 라며 야단을 친다. 이와 같은 말은 아이의 감정을 억압시킨다고 말한다. 억압된 아이의 감정에는 엄마가 나를 미워하는구나, 엄마가 나를 싫어하는구나와 같은 생각을 하게 된다.

 

여자 아이의 경우, 커서 자존감 하락, 우울 증세를 보일 수 있고

남자아이의 경우, 공격적이거나 충동적인 아이로 자랄 수 있다.

 

ⓑ축소 전환형

축소 전환형은 억압형보다는 약간 부드럽다고 할 수 있지만 아이의 감정을 놓친다고 한다. "그럴 리가 있겠니, 어디선가 나타날 거야"라고 말하는 것은 아이의 감정을 축소하게 되는데 이런 행동으로 인해 아이는 자신의 감정을 못 믿게 된다.

또 축소 전환형이란 말에서 있듯이, 아이의 감정을 축소한 다음 다른 걸로 전환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아이의 감정을 축소시킨 후 "네가 좋아하는 딸기 먹자!"라고 말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아이가 감정을 다 잡지 못했는데 다른 걸로 전환이 되어서 어려운 상황에 닥치면 굉장히 불안해하거나 귀가 얇아지고, 선택과 결정을 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아이로 자랄 수 있다.

 

마지막으로는

ⓒ지도 부재형 : 방임형 부모

마지막 감정 일축형으로는 방임형 부모가 있겠다. 감정은 받아주지만 올바른 지도는 해주지 않는 유형이라고 볼 수 있는데, "그래서 화났어? 어쩌지?" 라며 감정을 수용하지만 다음으로 "인형 또 사줄까?"라고 말하며 아이의 감정을 잘 지도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좋은 해결 방법이 아니기에 이런 환경에서 자란 아이는 감정은 알지만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지 몰라 미성숙하고 무책임한 아이로 자랄 수 있다고 말한다.

 


19분짜리의 영상을 모두 적기에는 집중력이 떨어진다고 생각해서 감정코칭과 감정코칭의 유형에 대해서만 알아봤다. 다음에는 감정코칭이 왜 어려운지 어떻게 감정코칭을 해 나갈 것인가에 대한 이야기를 쓰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에도 핫하게 만나요 우리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