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당신이 시작하지 못하는 이유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도 공부하는 핫동이 입니다!

 

 

요즘은 동기부여에 관한 재미난 책을 읽고 있습니다.

그 책은 '타이탄의 도구들'이란 책인데요.

 

 

오늘은 제가 읽고 있는 책

'타이탄의 도구들'에서

<인생을 걸어볼 목표를 찾아라>는 주제에 대한

글을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지금 잠시 읽는 글이

당신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무언가를 시작할 때

조금씩 조금씩 미루어 본적이 있습니까?

 

저는 올해 목표로 잡아놓은 유튜브 제작하기를 3월부터 미루어 왔습니다.

카메라가 없어서... 시간이 없어서... 동영상편집이 어려워서...

하나 둘 변명거리를 만드는 데에 시간을 쏟고 있습니다.

 

 

왜 우리들은 시작하지 못하는 걸까요?

 

당장 시작하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게으름 때문이 아닙니다.

실패하면 인생을 망칠 수도 있다는 두려움 때문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보지 않을까봐 두렵고,

많은 사람들이 못만들었다고 말할까봐 두렵습니다.

 

 

두려움은 언제나 우리의 발목을 잡습니다.

그리고 그 두려움은 시작을 거창하게 만들기 시작합니다.

 

 

 

페이팔의 창업자이자

페이스북 등 100개 이상의 기업들을 발굴, 투자해 억만장자가 된

피터 틸(Peter thiel)에 대한 이야기가 있습니다.

 

 

그는'제로 원 투'의 작가이자 전 세계 젊은 비즈니스맨들 사이에서 큰 존경을 받고 있는 인물이기도 합니다.

 

 

그런 피터 틸이 젊은이들에게 한 말이 있습니다.

 

 

 

"젊은 독자들은 목표가 생겼다면 기다릴 필요 없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인생을 걸고 뭔가 해보겠다는 목표가 있다면, 그걸 이루기 위해 10년 계획을 세워두고 있다면,

즉각 스스로에게 다음의 질문을 던져야 한다. '왜 6개월 안에 그 일을 시작하지 못하는가?'

물론 진짜 10년이 걸릴 수도 있다. 하지만 대부분 이 같은 목표는

 

 

'지금 당장 무모하게 시작해서는 절대 안 되지. 10년이 걸릴 거창한 거니까 진지하고 신중하게 시작해야 해'

라는 변명에 다름 아니다.

 

즉각 시작하지 못하는 자기 합리화에 목표가 쓰이면, 어떤 삶도 가망이 없다.

목표가 머릿속에만 존재하는 시나리오라면 죽을 때까지 절대 시작하지 못한다."

 

 

 

 

 

피터 틸이 지적하는 실패에 대한 이야기가 있습니다.

 

 

돈이 없기 때문에, 인맥이 없기 때문에, 시간이 없기 때문에...

실패를 안겨준 원인 한 가지를 찾는 데 집착하면, 다음에도, 그 다음번에도 그 한가지 때문에 실패한다고 합니다.

 

마치 도박장에서 '그 때 운만 좀 따랐더라면...' 하며 계속 돈을 잃는 것과 같고

주식투자에서 '그 뉴스가 그때 나오지만 않았더라면...' 하며 계속 돈을 잃는 것과 같습니다.

 

 

어느 한 가지가 결정적으로 작용해 실패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이유 때문에 실패합니다.

모든 이유 때문에 실패했다는 사실을 깨닫고 났을 때, 비로소 우리는 실패에서 배울 수 있게 됩니다.

핑계거리를 찾을 것이 아니라 실패를 인정하고 다시 한번 자신을 돌아보아야 합니다.

 

 

성공한 사람들의 말을 빌리자면 "실패란, '완전히' 실패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완전한 실패만이 계속되는 실패를 멈출 수 있을 것이며, 남김없이 완전하게 실패했기에

백지 위에서, 처음부터 다시 시작할 수 있게 이끈다"라고 합니다.

 

 

 

두려움 때문에 시작을 미루지 맙시다.

'완전히' 그만두지 않는다면 그것은 실패가 아닐 수도 있습니다.

수정하고 보완하면 실패가 아닌 성공으로 가는 길일지도 모릅니다.

 

 

 

테슬라 CEO인 엘론 머스크도 많은 실패를 수정하고 보완하면서

지금의 자리까지 왔습니다.

그리고 그는 화성으로 간다는 '스페이스X'프로젝트라는 말도 안되는 도전을 하고 있습니다.

 

 

 

우리 지금부터 당장 시작해봅시다.

그만두지 않는다면 그것은 아직 실패가 아닐 것입니다.

 

 

 

긴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