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도 핫동이 입니다. 혹시 앉아있다가 일어설 때 머리가 '핑~' 도는 현상을 겪어 보신 분들이 있나요? 저도 자주는 아니지만 가끔씩 이런 경우가 있는데요. 오늘은 알아두시면 좋은 기립성 저혈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기립성 저혈압
기립성 저혈압은 누워있거나 앉아있다가 일어날 때 갑자기 혈압이 떨어져 어지럼증이 나타나는 것을 말합니다. 하반신에 모인 혈액이 심장과 뇌로 잘 전달되지 않아 생기게 된다고 하는데요. 아침 기상이나 장시간 오래 서 있을 때 두통이나 목의 뻣뻣함, 현기증, 전신 무력감 등을 동반하여 나타날 수 있다고 합니다. 기립성 저혈압은 자칫 심한 어지럼증을 동반해 2차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고 하니 조심해야 합니다.

기립성 저혈압 원인
기립성 저혈압의 원인은 무엇일까요? 첫번째로는 피가 부족해서입니다. 기립성 저혈압은 앉아있다가 혹은 누워있다가 일어설 때 자주 발생한다고 합니다. 그 이유는 머리는 일어서는데 피는 액체이기 때문에 제자리에 머물러 있게 되고 일시적으로 뇌에 혈액이 공급되지 않아 생기는 경우입니다. 즉, 피의 양이 부족해 생기는 빈혈 현상입니다. 두 번째로는 혈관의 탄력성이 떨어지는 경우입니다. 우리 몸은 혈압이 떨어지면 어떻게든 혈압을 높이기 위해 노력합니다. 그 노력 중 하나가 혈관을 좁게 만드는 혈액 축소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작용이 잘 되지 않기 때문에 기립성 저혈압이 생기곤 하는데 혈관의 탄력성이 떨어졌다는 것은 동맥경화증이 있다는 것을 말하기도 합니다.

기립성 저혈압 개선방법
기립성 저혈압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원인이 무엇인지 알아본 후 원인에 대한 치료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합니다. 피가 부족해서 나타나는 경우의 대처법으로는 철이 많이 들어있는 음식을 섭취하는 것이 좋은데요. 현미나 초록잎 채소 그리고 비타민C를 섭취하는 것입니다. 비타민C는 채소, 과일에도 많지만 보충해서 먹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두 번째로 탄력성 키우기입니다. 혈관의 탄력성을 키우기 위해서는 고기, 생선, 계란, 우유와 같은 콜레스테롤이 있는 음식을 줄여주시고 현미, 채소, 과일을 섭취하시면 좋습니다. 그리고 기립성 저혈압을 유발할 수 있는 질환에는 뇌 질환, 당뇨성 말초 신경장애가 있습니다. 일반적인 치료 방법은 수액 공급으로 이루어지는데, 증상이 개선되지 않거나 심해지는 경우에는 어지럼증을 줄여주는 약물을 사용하기도 한다고 합니다.

예방법
무엇보다 예방하는 것이 가장 안전할 거예요. 예방법들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천천히 일어나는 것을 권장합니다. (무릎을 핀 후에 머리를 들어주시면 머리까지 혈액공급이 원활하게 일어날 것입니다.)
2. 염분과 수분 섭취가 중요하다고 합니다. 물은 하루 2리터 정도 섭취해주세요
3. 규칙적인 식사가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3대 영양소인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그리고 비타민, 미네랄을 충분히 섭취해주세요.
4. 규칙적인 운동은 도움이 되지만 과격하게 하시는 것은 삼가하시길 바랍니다.
5. 술은 혈관을 확장시킬 수 있기에 음주도 자제하시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6. 잘 때 머리를 15~20도 정도 올려 주무시면 좋습니다.

그리고 기립성 저혈압은 하체 근육이 부족한 사람에게 일어나기 쉽다고 합니다. 하체 근육의 부족은 정맥을 압박해 혈액을 심장까지 올려보내는 기능이 약하기 때문인데요. 그런 이유로 근육이 부족한 노인에게 발생 활률이 높으며, 피로,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못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오늘은 누구나 겪을 수 있는 기립성 저혈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긴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도 행복하세요~
'운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공적인 다이어트를 위하여 (0) | 2021.01.26 |
---|---|
탄수화물 중독 (0) | 2020.12.17 |
웨이트 트레이닝 실패지점 (0) | 2020.09.02 |
하체운동 중요성 (2) | 2020.08.10 |
요통 스트레칭 (0) | 2020.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