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도 공부하는 핫동이 입니다!
오늘의 수소 분야 공부에서는
태양광, 풍력, 수소 등
친환경 분야에서의
투자를 보이고 있는
한화솔루션이 물을 분해해 수소를 생산하는
수전해 기술 상용화를 위해
글로벌 인재 영입에 속도를 내고 있다는
소식을 들었습니다.
어떤 인재를 선택했고
한화솔루션이 무엇을 위해
이러한 선택을 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한화솔루션의 선택 정훈택
한화솔루션은 미국 로스앨러모스 국립연구소(LANL)
수석연구원인 정훈택을
수소기술연구센터의 센터장으로 영입했다고
2월 1일에 밝혔습니다.
LANL은 국가 안보, 우주항공, 재생에너지, 슈퍼컴퓨터 등을
연구하는 세계 최대 연구소 중 한 곳 입니다.
정훈택 신임센터장의 이력을 살펴보면
카이스트에서 재료과학 석,박사 학위를 받았고
일본 도쿄공업대의 포스닥(박사 후 연구원)과정을 거쳐
LANL에서 14년 넘게 수전해 및 연료전지의 핵심소재와
시스템을 연구했다고 합니다.
정훈택 신임 센터장의 선택 이유?
한화솔루션이 정훈택 신임 센터장을 선택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한화솔루션은 2023년 상업화 목표로 추진하는
'음이온 교환막(AEM)' 방식의 차세대 수전해 기술 개발을 위해서 입니다.
2019년부터 연세대와 카이스트 그리고 미국 렌슬리어공과대(RPI) 등과
함께 추진해온 연구 및 개발 (R&D)에 더욱 속도를 내고자하는
한화솔루션의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 잠시 간단하게 음이온 교환막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음이온 교환막(AEM)??
현재 산업계에서는 성능과 내구성이 우수한
양이온 교환막(PEM)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값비싼 백금을 촉매로 사용하기에
가격이 비싸다는 점이 단점 입니다.
그래서 구리와 니켈 등 값싼 촉매를 사용하는
음이온 교환막 사용을 통해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음이온 교환막은
아직 내구성과 성능에서 양이온 교환막을
뛰어넘기에는 부족함이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한화솔루션은
음이온 교환막의 연구와 개발로
가격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투자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그리고 물의 분해과정에서
전력사용량을 줄이는 데 필요한
촉매와 음이온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음이온 교환막 분야에서 세계적인 기술력과 연구진 네트워크를
보유했다고 한화솔루션이 밝혔습니다.
정훈택 센터장은
"그린 수소에 대한 각국의 기술 경쟁이 본격화하는 시점에
수전해 기술 연구 경험과 관련 네트워크를 적극 활용해
국가 수소 에너지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싶다"고
말했습니다.
오늘은 한화솔루션이 선택한
글로벌 인재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한화솔루션은 이번 영입을 통해
2023년까지 그린수소 생산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경제성을
확보한다는
계획으로 보여집니다.
과연
한화솔루션의 계획대로
실행될 수 있을지
지켜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긴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만 글을 마칩니다.
'수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효성 수소 산업 (0) | 2021.02.12 |
---|---|
현대모비스 수소분야 (0) | 2021.02.08 |
수소연료전지 사용증가 (0) | 2021.02.01 |
울산 인천 수소충전소 소식 (0) | 2021.01.28 |
포스코(POSCO) 수소 (0) | 2021.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