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동차

겨울용 타이어는 어떤 점이 다른가요?

반응형

안녕하세요! 카와이 상점입니다. 겨울이 다가오면 겨울용 타이어 윈터 타이어 혹은 많이 알고 계시는 스노우 타이어로 타이어로 교체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저희쪽도 눈이 오는 지역이라 타이어 교체가 많이 이루어집니다. 
책, 타이어 정복기를 통해 일반타이어와 겨울용 타이어는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겨울용 타이어는 영하 7˚C 이하에서도 부드러운 유연성을 유지할 수 있는 고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낮은 온도가 되면 일반타이어는 딱딱하게 경화가 되어 눈길을 잘 차고 올라가지 못합니다. (극단적으로 타이어가 플라스틱처럼 된다면 잘 미끄러지겠죠?)
 
노면에 접지하는 블록에 많은 커프(Kerf) 를 삽입해서 접지 면적을 최대한 높여주고 수분을 흡수하여 눈길에서 보다 향상된 견인력과 제동력을 얻을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고 합니다. 
 
기온에 따른 고무의 물성 변화가 적고 공회전 시 마찰력을 높여 주기 위해 신소재인 실리카 컴파운드를 첨가하여 눈길 제동력을 향상시켰다고 합니다. 
 

겨울용 타이어는 마모와 연비의 경우 추운 겨울에는 일반 타이어 대비 차이가 거의 없지만 여름에 사용하면 겨울철 대비 더 부드러워져서 약 5~7% 정도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고 합니다. (또 느낀 단점이 있다면 약간의 흔들리는 듯한 느낌을 처음에 받습니다. 조금씩 적응을 하는 듯하며, 소음도 올시즌 타이어보다 난다는 점이 단점이 될 수 있겠습니다.)
 
겨울용 타이어 종류
스파이크 타이어 (Spike)

  • 스파이크를 끼운 타이어로 빙판길에서 뛰어난 성능을 유지합니다.
  • 눈길을 벗어난 노면에서는 승차감과 소음 성능이 떨어집니다.
  • 일본, 독일, 오스트리아에서는 도로 파손 이유로 사용을 금지합니다.

스터드리스 타이어 (Studless)

  • 트레드 고무의 재료와 패턴 디자인을 변경하여 제작합니다.
  • 최근 겨울용 타이어의 트랜드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스파이크 타이어와 성능을 비교하면 빙판길에서 약 90% 수준이며, 눈길에서는 거의 유사한 성능을 보인다고 합니다.

*커프 ? '자국 절단'이라는 뜻으로 금속이 제거된 공간이란 의미로 사용되며 타이어에서는 타이어 바닥면의 일부분이 절단되어 제거된 공간을 의미한다고 합니다.
 
*실리카 ? 지표면에 가장 많이 존재하는 성분이며 거의 모든 토사에 다른 성분과 결합한 규산염 광물로 존재하기도하고 순수한 상태에서는 규사, 규석으로 존재합니다. 실리카 미분은 고무 플라스틱 공업, 도료, 약품 등에도 다양하게 사용되는 중요한 공업재료라고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