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카와이상점입니다.
오늘은 책, 타이어 정복기를 통해서 타이어의 적정공기압에 대해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내가 타고 다니는 차의 적정공기압을 우리도 알 수 있을까요?
승용차의 적정 공기압은 차종에 따라 달라진다고 합니다. 그래서 운전석 문을 열면 B필러에 부착된 '타이어 표준 공기압' 스티커 또는 차량 메뉴얼을 확인하여 해당 차량에 맞는 적정 공기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이 있습니다. 차량이나 메뉴얼에 기재된 수치는 냉간 시 측정하는 것이 기준입니다.
그러므로 차량을 운행하여 인근 카센터나 주유소에 방문한다면 이미 타이어가 발열되어 적정 공기압보다 높게 주입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타이어가 충분히 식었을 경우에 공기압을 주입하는 것이 적정 공기압을 주입할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은 이론적으로는 맞다고 생각하지만 공기압 주입을 위해 기다리는 고객님들이 안계시니 알고는 있어야 될 듯 합니다.)

타이어에 적정 공기압을 주입해야하는 이유
타이어에 적정 공기압을 주입해야 그 제품이 갖고 있는 중요한 성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고 합니다.
(타이어의 성능이라고 하면 제동력, 승차감, 마모성 등을 말합니다.)
공기압이 부족하거나 과다할 경우에는 타이어 기능이 저하되어 타이어의 손상과 직결되는 사고의 원인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고속주행 전에는 반드시 타이어의 공기압을 점검하고 적정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요즘은 겨울에 눈이 많이 오지 않아 특정 지역을 제외하고는 제설 작업이 잘되고 눈길을 밟을 일이 줄어들고 있습니다.
겨울철이라고 특별히 공기압을 높인다거나 여름이라고 공기압을 낮춰 관리하는 것보다 월 1회 정기적으로 차종별 적정 공기압을 관리하여 타이어의 주행 상태를 최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더욱더 중요하다고 판단합니다.
(이 부분에 많은 고객님들께서 물어보시는데, 제 생각도 타이어 공기압 관리가 중요하다고 생각됩니다.)
'자동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겨울용 타이어는 어떤 점이 다른가요? (0) | 2023.12.04 |
---|---|
좌우 비대칭 타이어 특징 (0) | 2023.11.27 |
승차감이란 무엇인가? (0) | 2023.11.06 |
자동차의 타이어가 검은색인 이유는? (0) | 2023.11.01 |
타이어 펑크 수리 가능 범위 (0) | 2023.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