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동차

급제동하면 오일 경고등이 켜진다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도 공부하는 핫동이 입니다!
오늘도 책, <내 차 알고 타면 이익이다>를 정리하면서
지식을 쌓아보려고 합니다.

오늘은 오일 경고등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참고로 2004년에 출간된 책이다보니 지금과 많이 다를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혹시 잘못된 부분이 있거나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에 남겨주시면
또 공부해서 답변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급제동이나 급회전을 할 때 계기판의 *오일 압력 경고등이 0.5초쯤 들어왔다가 꺼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오일압력경고등

이것은 큰 고장이 아니라 엔진 오일이 다소 부족하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이라고 합니다.

엔진 오일이 부족하면 급제동할 때 오일이 안쪽으로 쏠리면서 *엔진 오일 흡입구가 공기 중에 노출됩니다.

엔진 오일 펌프가 일시적으로 오일을 흡입하지 못하면 엔진 오일 압력이 순간적으로 떨어지면서
경고등이 들어옵니다.

일시적으로 오일 압력이 떨어지는 정도로는 엔진에 무리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크게 걱정할 정도는 아닙니다.
엔진 오일의 양을 F선과 L선 사이로 늘 맞춰 보충해 주면 이런 문제는 생기지 않습니다.


오늘은 오일 경고등이 켜지는 것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에 고객분들 중에 이러한 상황이 있으면
엔진 오일 양을 체크한 후 걱정을 덜어드리면 될 듯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