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도 핫동이 입니다. 최근에 제게 작은 접촉사고 하나가 일어났습니다. 사고다 보니 저도 손쓸틈없이 일어났는데요. 접촉사고를 처음 겪다보니 어찌해야할지 몰랐던 제가 생각이 나 오늘은 접촉사고 행동요령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아무리 자신이 방어운전을 하더라도 상대방에 의해 사고가 일어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언제나 조심해서 운전을 해야하지만 접촉사고 발생 시 어떻게 대처해야하는지 안다면 많은 도움이 되겠죠?

이제부터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교통사고 대응요령에는 먼저 안전 확보가 가장 중요합니다. 안전한 상태가 아니라면 2차 3차 사고가 연달아 이어질 수 있으니 자신이 안전한 상태인지, 인명피해는 없는지를 가장 먼저 확인 하시길 바랍니다.
다음 안전 확보가 되었다면 기록을 남기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기록은 나중에 합의나 보험에 관련되어 중요한 단서가 되기 때문입니다. 기록을 남기는 방법은 크게 두가지인데요.

첫 번째는 사고 당사자의 블랙박스나 주변 cctv영상, 목격자의 연락처 확보가 되겠습니다.
두 번째는 사진을 촬영하는 것입니다. 사진 촬영 시에는 최소 4가지 이상의 각도에서 촬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사고 현장 전체사진
원거리에서 사고 현장을 촬영하는 것은 사고 발생 상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2. 충돌 부위 근접 사진
충돌한 부분을 가까이에서 촬영하여 찌그러진 부위나 색이 벗겨진 부위를 알 수 있습니다. 그 정도에 따라 차량이 어느정도 힘을 받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3. 사고 차량 앞바퀴 사진
앞바퀴 사진은 두 차량의 사고 직전의 방향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어 중요합니다.
4. 블랙박스 여부 촬영
일부 운전자는 나중에 보험처리 과정에서 블랙박스가 없다고 우길 수 있기 때문에 그 대응을 위해서 상대방 차량의 블랙박스를 찍어놓을 필요가 있습니다.

다음은 보험사나 경찰서에 연락하는 것입니다. 사고 현장 기록을 마쳤다면 서둘러 안전한 장소로 대피 후 보험사나 경찰서에 연락을 취해야합니다. 단순 합의로 끝낼 수 있는 경우에는 연락할 필요가 없지만 차량피해 정도에 따라서는 보험사에, 인명피해 정도에 따라서는 경찰서에 연락을 하시길 바랍니다.

이제부터는 주의사항입니다. 차를 타고 처음 사고가 났다던지 아니면 갑작스런 사고에 당황했을 경우 실수하기 쉬운 부분인데요. 현장에서 상대방이 합의를 빨리 하자고 하는 경우가 있는데, 합의는 빨리 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이럴 때는 연락처를 받은 후에 보험회사와 상의 후 합의를 해도 괜찮습니다. 보험회사에 연락하더라도 취소 후 상대방과 합의를 할 수 있습니다.

만약 뺑소니나 음주운전과 같은 교통사고 특례법에 어긋난 경우라면 즉시 경찰에 신고하셔야합니다.
-교통사고 처리 특례법 (12대 중과실 사고 유형)-
1. 신호위반
2. 중앙선 침범
3. 무면허 운전
4. 음주운전
5. 보도를 침범한 차량
6. 제한속도보다 20km 이상 과속한 차량
7. 앞지르기 방법을 위반한 차량
8. 횡단보도에서의 사고
9. 철길 건널목 통과 방법을 위반한 차량
10. 승객 추락 방지 의무를 위반한 차랸
11. 어린이 보호 구역 안전 운전 위반한 차량
12. 자동차에 있는 화물이 떨어지지 않게 필요한 조치를 하지 않은 차량
이상입니다. 오늘은 자동차 사고 대처요령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사고 발생 시 가장 중요한 것은 당황하지 않고 침착하게 대응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