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동차

전기, 전류, 전압, 저항에 대한 정리 안녕하세요. 자동차 정비를 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전기를 잘 다뤄야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전기와 전류, 전압, 저항에 대해서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상세한 정리는 아니며, 제가 공부를 하면서 간단하게 외우기 위함을 먼저 알려드립니다. 전기 전기란 (자유) 전자의 이동으로 생기는 에너지의 한 형태를 말합니다. 전기에는 전류와 전압 그리고 저항이 존재합니다. 전류 전류란 전자가 흐르는 것을 말합니다. 즉, 전자가 이동하는 것과 같은 말입니다. 전류가 흐르면 3가지의 작용을 합니다. 1. 발열작용 2. 자기작용 3. 화학작용 단위는 A(암페어)를 사용합니다. 전압 전압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물을 생각해봅니다. 도체에 흐르는 전류는 마치 물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는 것과 같은 모양으로 흐른다고 합니다... 더보기
모터의 원리 자동차 일을 하기위해서는 모터의 원리는 알고 있어야 된다고 들었습니다. 그래서 많은 유튜브를 찾아보았고, 그 중 K J 님의 "전기모터"라는 제목의 내용이 가장 이해하기 쉬웠던 것 같습니다. 그 내용을 글로 정리하며 다시 한번 이해해보고자 합니다. 회로 - 건전지, 전구, 전선 먼저 회로라는 것을 이해 할 필요가 있습니다. 건전지와 전선, 전구를 연결하면 전기가 회로를 따라 흐르면서 전구의 불이 켜지게 됩니다. 전선이 끊어지면 전기의 흐름이 멈추고, 전구의 불도 꺼지게 됩니다. 여기서 전기가 전선을 따라 흐르는 것을 전류라고 합니다. 이번에는 배터리의 방향을 바꿔봅니다. 배터리 방향이 바꾸면 전류의 방향은 바뀝니다.하지만 전류는 계속 흐르기 때문에 전구의 불이 꺼지지는 않습니다. 여기까지가 회로의 기본적.. 더보기
엔진의 기본 구조 안녕하세요. 핫동이입니다. 내연기관 자동차에는 엔진이라는 것이 존재합니다. 오늘은 책, 자동차 구조 교과서를 통해 엔진의 기본구조는 어떻게 되며, 실린더 블록과 실린더 헤드에 대해 알아보고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실린더 블록과 실린더 헤드엔진이 힘을 발생시키는 기본 단위는 실린더와 피스톤이라고 합니다. 실제 엔진은 내부에 실린더의 통구조가 만들어낸 실린더 블록과 실린더의 천장에 있는 실린더 헤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둘 다 연소/팽창 행정의 폭발적인 연소가 일으킨 압력 상승을 견뎌야 하기 때문에 튼튼하게 만들 필요가 있습니다. 하지만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부품이 무거워진다면 주행 성능과 연비라는 측면에서 안좋은 모습을 보여주기 때문에 강도 유지와 상관이 없는 부분을 깎아서 경량화를 만들어내고 있다고 전합니.. 더보기
크랭크 기구 , 커넥팅 로드 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오늘은 책, 자동차 구조를 통해서 크랭크 기구에 대한 설명을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엔진에서 말하는 크랭크축은 무엇이며, 커넥팅로드와 같은 말들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피스톤은 상하 왕복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한다.가솔린 엔진 같은 왕복 엔진은 피스톤이 왕복운동을 해서 힘을 발생시키는데, 자동차가 주행하려면 타이어의 회전 운동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그래서 왕복 엔진은 크랭크축과 커넥팅 로드를 이용해 상하 왕복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합니다. 크랭크 기구는 기본적인 기계요소(기계를 구성하고 있는 단위부품의 하나)로 다양한 기계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책에서는 자건거의 페달을 예로 들어줍니다. 자전거 페달을 밟는 동작을 옆에서 바라보면 무릎이 다소 좌우로 움직이기는 하지만 기본적으로는 .. 더보기
타이어 쏠림 진단과 파워 스티어링 쏠림 진단 안녕하세요. 카와이상점입니다. 타이어의 쏠림과 파워 스티어링의 쏠림 진단은 어떻게 하는 것일까요? 헌터의 자료를 토대로 공부함을 알려드립니다. 타이어 쏠림 진단 타이어 쏠림 또한 래디얼 쏠림 또는 코니시티(원뿔효과) 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타이어의 경우 트레드면에 수많은 코드와 벨트들이 겹겹이 쌓이면서 만들어지게 되는데 간혹 적게 쌓이거나 많게 쌓여지게 되면서 쏠림이 일어나는 경우를 말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타이어에 이러한 문제가 있다면 원하는 방향에서 벗어나게 쏠림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과도한 코니시티가 있는 타이어를 차의 반대쪽에 이동하면 차가 쏠리는 방향을 변경시키거나 쏠림을 허용할 수 있을 정도로 줄여 줍니다. (만약 코니시티 현상이 있는 타이어라면 반대 방향으로 옮겼을 때에 쏠림이 상쇄가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