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동차

전기, 전류, 전압, 저항에 대한 정리

반응형

안녕하세요. 자동차 정비를 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전기를 잘 다뤄야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전기와 전류, 전압, 저항에 대해서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상세한 정리는 아니며, 제가 공부를 하면서 간단하게 외우기 위함을 먼저 알려드립니다. 
 

전기 

 
전기란 (자유) 전자의 이동으로 생기는 에너지의 한 형태를 말합니다. 
전기에는 전류와 전압 그리고 저항이 존재합니다. 
 

전류

 
전류란 전자가 흐르는 것을 말합니다. 즉, 전자가 이동하는 것과 같은 말입니다. 
전류가 흐르면 3가지의 작용을 합니다. 1. 발열작용 2. 자기작용 3. 화학작용
단위는 A(암페어)를 사용합니다. 
 

전압

 
전압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물을 생각해봅니다. 도체에 흐르는 전류는 마치 물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는 것과 같은 모양으로 흐른다고 합니다. 이 전기적인 높이(전위차) 즉, 전기적인 압력을 전압이라하며, 단위는 V (Voltage)를 사용합니다. 
 
* 1(V)는 저항 1(옴) 도체에 1(A)의 전류가 흐르게 할 수 있는 전압을 뜻합니다. 
 
결국 전압은 전류를 흐르게 할 수 있는 힘을 말합니다. 
 

저항

 
마지막으로 저항입니다. 저항은 자유전자가 도체 속을 이동하는 동안(전류가 흐르는 동안) 수많은 원자핵과 다른 전자들에 부딪히게 되어 많은 양의 전자가 마음껏 쉽고 빠르게 이동할 수 없습니다. 이것을 저항이라고 부릅니다. 
 
저항은 도체가 가늘수록 길이가 길수록 커지게 되며, 물질이 가지고 있는 자유 전자 수나 원자핵의 구조 또는 온도에 의하여 달라집니다. 온도가 높을수록 저항은 커지게 됩니다.
 
전기저항 기호는 R이며, 전기저항의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는 ohm을 씁니다. 
 
*1옴이란 1(A)의 전류를 통하는데 1(V)의 전압을 필요로하는 도체의 저항을 말합니다. 
 

옴의법칙

 
전류,전압,저항을 알게 되었다면 옴의 법칙도 알 수 있겠습니다. 
옴의 법칙 : 전압과 전류와 저항의 관계식을 나타내는 법칙을 말합니다. 
 
전기 회로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는 가한 전압에 비례하고 저항에는 반비례한다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V = IR    , I = V/R , R=V/I

하다보니 계속 진행합니다.
 

전력

 
단위시간 당 전달되는 전기 에너지를 말하며, 일의 양입니다. 단위는 W(와트)를 사용하며, 
P = VI 라는 식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부하 

 
여기서 부하라는 것을 알고 가면 좋을 듯 합니다. 전기회로에서 부하란 전류의 흐름으로 에너지를 공급받는 장치를 말하며, 부하는 저항의 한 부분이라 생각하면 됩니다. 
자동차에서는 부하란 발전기에서 전기를 공급 받아서 에너지를 소비하는 것이라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단선

 
전기선이 끊어진 경우
 

단락

 
짧을 단, 이을 락으로 회로가 짧아졌다는 의미로 짧을 단을 쓴다고 합니다. 
단락 과 쇼트는 같은 말이며, 합선과는 비슷하지만 다른 말이라고 합니다. 
 
그 뜻을 펼쳐서 보면 정상인 상태보다 어떠한 물리적 이유 때문에 회로가 더 짧아지는 것을 단락이라고하며, 전기 회로가 짧아진다면 일어나는 현상으로는 정격인 상태보다 훨씬 많은 전류가 흐르게 된다고 합니다. 
 


단락이 된다면 부하가 있는 곳을 지나지 않게 되어 저항이 굉장히 작아지게 됩니다.
저항이 작아진다는 것은 옴의 법칙을 적용해보면 반비례를 하는 전류가 커지게 되고 이는 과전류로 말할 수 있습니다.
과전류가 된다면 화재 발생의 위험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자동차 진단기 점검을 하다보면 단선, 단락 ,저항 과대, 저항 과소 등의 글을 보게 되는데 이와 같은 내용임을 짐작할 수 있겠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반응형

'자동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타이어 마모에 따른 다양한 원인  (0) 2024.07.08
알터네이터 원리와 고장증상  (0) 2024.06.25
모터의 원리  (0) 2024.04.25
엔진의 기본 구조  (0) 2024.04.04
크랭크 기구 , 커넥팅 로드 에 대하여  (0) 2024.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