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알터네이터에 대해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저도 현재 배워가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부족한 부분은 보충하고 더 단단해지겠습니다.
"알터네이터"란
엔진이 동력할 때 배터리도 충전하며 전장시스템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게 해주는 장치
자동차의 엔진이 회전하면 자동차를 움직이게 만드는 동력을 만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전기를 만들어내지는 못합니다.
와이퍼, 창문, 음악, 네비게이션, 보조시스템 등 현대 자동차에는 거의 대부분이 전기를 이용한 장치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알터네이터의 구성
알터네이터는 풀리, 고정자(스테이터) , 회전자(로터),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등이 있습니다.
고정자(스테이터)는 3상 코일로 되어있으며, 회전자는 DC모터 같이 전자석의 원리를 이용합니다.
알터네이터의 작동 방법입니다.
엔진의 동력으로 알터네이터의 풀리를 회전
☞ 로터 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전자석이 됨
☞ 로터가 회전하면서 스테이터에 기전력을 발생
☞ 스테이터에서는 3상 AC전류가 발생
☞ 3상 AC전류는 정류기(다이오드)를 통해 DC전류로 변환되어 배터리를 충전하게 됨

고장원인
이번에는 알터네이터의 고장원인에 대해 정리해봅시다.
1. 내부의 베어링 파손으로 인해 로터와 스테이터가 접촉되어 스테이터의 코일부 파손
2. 레귤레이터의 이상으로 과충전 및 출력전압의 심한 변동
3. 전력전달용 브러쉬의 마모로 인한 접촉불량
4. 심한 습기에 의한 쇼트로 코일절연 불량
5. 과다한 전력소비( 고출력 오디오, 고전력형 라이트 전구 등)
6. 레귤레이터 파손에 의한 전압 불안정
불량시 증상
1. 배터리 경고등
차량 운행에 필요한 전기를 제대로 생산할 수 없어 배터리 경고등을 띄운다고 합니다.
특히 시동이 걸린 상태나 주행 중에 해당 경고등을 띄우면 차량 발전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다는 말입니다.
(빨리 점검 받으시길 권장드립니다.)
2. 배터리 방전
자동차 배터리는 시동이 걸린 이후부터 충전이 되어야합니다. 하지만 발전기가 정상 작동을 하지 못하면 충전이 안되고 결국 배터리 수명을 다하게 되어 방전하게 됩니다.
3. 각종 전자장비의 오작동
차량의 전자 장비에 필요한 전압 공급이 안됩니다. 에어컨이나 히터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으며 전자 장비의 오작동이 일어날 수도 있다고 합니다.
4. 시동 꺼짐
발전기의 이상이 감지되거나, 배터리의 교체주기가 지나 잔량이 충분하지 않다면 미리미리 점검은 필수입니다.
시동 꺼짐은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5. 불안정한 RPM
현대의 자동차는 여러가지 전자센서에 의해 공기의 양과 정해진 압축비를 맞추게됩니다.
불안정한 전압으로 관련 부품들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RPM도 일정하지 않게 되며, 엔진 출력 이상, 연비 저하 문제가 생길 수 있겠습니다. 고장 증상 3번과 관련이 있겠습니다.
'자동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보 셀프 세차 (feat. 오토하우스) (1) | 2024.09.05 |
---|---|
타이어 마모에 따른 다양한 원인 (0) | 2024.07.08 |
전기, 전류, 전압, 저항에 대한 정리 (0) | 2024.05.17 |
모터의 원리 (0) | 2024.04.25 |
엔진의 기본 구조 (0) | 2024.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