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동차

타이어 규격에 대한 정리(편평비, 하중지수, 최대속도, 타이어강도)

반응형

안녕하세요! 고속주행시 롤링 현상과 안정성에서 편평비가 중요하다는 걸 알고 계신가요?
타이어는 무거운 차량을 4바퀴만이 지탱을 하기에 타이어의 하중지수도 중요합니다.
타이어 정복기를 통해 편평비와 하중지수에 대한 내용을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편평비(Aspect Ratio)
편평비란 타이어 단면 폭에 대한 옆면 높이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고성능 차량일수록 타이어의 편평비를 낮추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고속주행 시 롤링 현상(가로 흔들림)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코너링을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최근 개발되는 자동차의 경우 휠 사이즈가 고인치화 되어가고, 현가장치 또한 소프트에서 하드로 많은 변화가 일어남에 따라 코너링 시 안정성이 더욱 더 요구되고 있습니다. 
*소프트한 현가장치의 경우 승차감은 향상되지만 고속과 코너링에서의 주행 안정성이 저하된다고 합니다.
 


2)하중지수 표시(Load Index)
최대 공기압을 주입한 상태에서 타이어가 견딜 수 있는 최대 하중(kgf)을 표로 나타내었습니다.
 
참고로 하중지수는 타이어 1개가 지탱할 수 있는 최대하중을 지수화하여 표기한 것입니다.
타이어 형식, 최고속도, 공기압 등에 따라 결정됩니다. 
 
2가지만 정리해보려다가 너무 글이 작은 것 같아 최대속도 기호와 타이어 강도에 대한 설명도 정리해보겠습니다.
 

3) 최대속도 기호 (Speed Symbol)
타이어가 안전한 상태에서 주행이 가능한 최대속도를 별도의 표를 만들어 기호화하여 관리하고 있습니다.
 
4) 타이어 강도 (Ply Rating)
타이어의 강도를 나타내는 지수를 플라이 레이팅이라고 말하며, 흔히 PR로 약칭하여 타이어에 표시된다고 합니다.
면섬유의 강도 기준으로 1P라고 정의되며, 면 섬유의 몇 배에 해당하는 강도를 지녔는지 측정하여 4P, 6P, 8P, 10P 등으로 표기합니다. 
 
수치가 높을수록 고하중을 견딜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책에서는 고속주행 및 과적을 하는 차량이라면 플라이 레이팅이 높은 타이어를 장착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면섬유(목화) : 타이어의 소재는 면섬유(1900년대) 사용하다 레이온(인조면섬유, 1930년~) 과 나일론(1970년~)이 개발되고 이후 폴리에스터(1980년~)가 개발되어 최근에는 카카스 재료의 90% 정도를 폴리에스터가 차지하고 있습니다.
가장 최근에는 아라미드(2000년~)가 개발되어 부분적으로 사용되고 있다고 합니다. 
 


이번에 공부하면서 깨달은 것은 타이어 강도 1P가 면섬유 강도 기준으로 잡는 것인지 처음알았습니다. 
매번 보면서도 숫자가 높을수록 강도가 강해진다는 것만 알고 있었지, 면섬유를 기준으로 몇 배가 된다는 건 좋은 배움인듯 합니다. 타이어 업계에서 일하시는 많은 분들이 모르실 것 같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