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동차

브레이크 지식부터 점검 교환까지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도 공부하는 핫동이입니다.

앞으로 아버지 가게를 이어나가기 위해 자동차 공부를 시작하기로 했습니다.
오늘은 브레이크에 대해서 정리해보려 합니다.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자동차에서 브레이크는 엄청 중요합니다!
생명과 직결되어 있는 부분이기 때문이죠.
빙판 길에서나 과속을 하고 있을 때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는다면
아찔한 상황을 맞이 할 수 있습니다.

브레이크

브레이크는 마스터 실린더의 유압을 받아 브레이크 패드를 드럼이나 디스크에 압착시켜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라고 합니다. 모든 바퀴에 설치되어 있으며,
각 차축에 설치된 휠의 회전을 감속 또는 정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디스크식 브레이크

브레이크 방식에는 디스크식 브레이크, 드럼식 브레이크가 있습니다.
그 중 디스크식 브레이크는 마스터 실린더에서 발생한 유압을 캘리퍼로 보내
바퀴와 함께 회전하는 디스크를 양쪽에서 패드로 압착시켜 제동시킨다고 합니다.

디스크식 브레이크는 자동 조정 브레이크 형식이며, 디스크가 대기 중에 노출되어 회전하기 때문에
페이드 현상(계속적인 브레이크 사용으로 드럼과 슈 또는 디스크와 패드에 마찰열이 축적되어
드럼이나 라이닝이 굳어져 제동력이 감소되는 현상)이 적은 것이 특징입니다.

출처:네이버

디스크식 브레이크 소음 문제

브레이크 부분에서 끼익하는 소리가 들릴 때가 있습니다.
브레이크 조작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은 슬라이딩 면과 마찰재의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 때문이라고 합니다.
직접적 마찰음뿐만 아니라 진동에 의한 '가진,전달,공진' 등의 물리 현상이 복합적으로 작용합니다.

드럼식 브레이크

드럼식 브레이크는 휠과 함께 구동축에 설치되기 때문에 휠이 회전하면 함께 회전하는 구조입니다.
마스터 실린더에서 보내진 유압은 휠 실린더로 전해져 브레이크 슈를 밀어냅니다.
여기서 슈는 확장 될 수는 있어도 회전은 할 수 없습니다. 그래야 제동에 필요한 마찰력을 발생시켜
자동차를 정지할 수 있습니다.

출처: 박병일의 자동차 백과


요즘 나오는 승용차들은 앞뒤 모두 디스크식 브레이크 장치로 되어있습니다.
1톤 이상 짐차는 앞은 디스크식, 뒤는 드럼식을 함께 사용하고,
큰 트럭이나 버스는 앞뒤 모두 드럼식 브레이크를 사용한다고 합니다.
이렇게 다른 이유는 디스크식 브레이크의 마찰력이 드럼식 브레이크보다 적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브레이크 간단 점검 방법

책<박병일의 자동차 백과>에는 브레이크 간단 점검 방법이 나와있습니다.
자신의 자동차의 브레이크가 잘 되는지 한번씩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①엔진 시동을 끄고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처음에는 쑥 안으로 잘 들어가다가
두 번 세 번 계속 밟으면 브레이크 페달이 딱딱해지면서 잘 들어가지 않습니다.
②이때 엔진 시동을 겁니다. 브레이크 페달이 쑥 들어가면 브레이크는 정상이라고 합니다.
③브레이크 진공 부스터 기밀성 점검은 엔진 회전 중에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그 상태에서 엔진을 정지한 후 30초 정도 페달을 그대로 밟은 채 유지합니다.
그 때 페달의 높이가 변하지 않으면 부스터의 기밀성은 정상이라고 합니다.

브레이크 교환시기

그렇다면 브레이크 관련 물품들의 점검/교환 시기는 어떻게 되는 걸까요?
○브레이크 액 - 매 2~3만 km
○브레이크 패드 - 매 4~5만 km
○브레이크 라이닝 - 매 5~6만 km

※책,<박병일의 자동차 백과> 참조


자 오늘은 브레이크에 관한 지식을 정리해보았습니다.
책,<박병일의 자동차 백과>에서 참고하였으며
여러분에게도 제게도 많은 도움이 되는 지식이었으면 합니다.


긴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반응형

'자동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네시스 신형 후륜 위치교환  (2) 2022.05.15
타이어에 관한 정리(타이어 구조, 타이어 표시)  (0) 2022.03.12
엔진에 관한 지식  (0) 2022.03.01
자동차 구동방식  (0) 2022.02.25
자동차의 종류  (0) 2022.0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