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

나르시시스트를 알아보는 방법

반응형

저번에 이어서 나르시시스트에 관한 이야기를 이어서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주변에 나르시시스트가 있을 때 꼭 피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스스로를 사랑하는 자존감이나 자부심이 높은 사람들은
주변의 좋은 사람들과 협동해서 좋은 결과가 나왔을 때
"내가 좋은 사람이라서 내 주변에 좋은 사람이 많아서 잘 해냈네?"라고 생각하지만


나르시시스트는 " 내 주위에 후진 것들 뿐인데 내가 잘해서 잘됐네?"라며
남을 칭찬하는 것을 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여기서 나르시시스트가 성취감을 느끼기 위한 2가지 조건이 있는데,
첫 번째, 내가 잘하는 것
두 번째, 남들이 못하는 것

그래서 주변 사람들의 성공은 나르시시스트의 지위에 대한 위협이 되기도 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나르시시스트는 본인의 몫을 지키려고 주변을 끌어내린다고 하니
가까이 있으면 피해를 볼 가능성이 높은 겁니다.

내 주변에 나르시시스트가 있는지 알 수 있는 방법

내 주변에 나르시시스트가 있는지 알고 싶은가요?
영상에서 보여준 상황을 보면

친구의 주변 사람을 소개받는 자리에 나가는 상황입니다.

보통 소개해주는 자리에서는 낯선 사람들에게 힘들어하고 어려워할 수 있기 때문에
더 이야기 할 수 있도록 배려를 하는 것이 정상인데,

나르시시스트들은 같이 간 사람을 방관하거나 신경 쓰지 않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행동은 평범한 나르시시스트에서 볼 수 있다고 합니다.

여기서 좀 더 교묘하고 무서운 나르시시스트들은
나를 소개하고 대화하면서 내가 당황해 할만한 질문들을 하면서
나를 멍청하게 만드는 동시에 자신을 돋보이게 만듭니다.

미리 양해도 구하지 않고 자신을 들러리로 만들고 자주 반복된다면
나르시시스트일 확률이 높습니다.

나르시시스트가 가장 좋아하는 사람

나르시시스트가 가장 좋아하는 사람은 어떤 사람일까요?

바로 공감 능력이 높은 사람입니다!

나르시시스트의 부정적인 감정에 쉽게 영향을 받는 사람들의 특징이 있다고 합니다.

1. 다른사람의 감정을 무시하지 못하고 다른 사람과 연관되어 있다고 느끼는 사람
2. 행동과 몸짓으로 하는 비언어적인 감정표현을 캐치를 잘하거나 음성과 몸짓으로 의사소통이 능숙한 사람

이렇게 공감 능력이 뛰어난 사람들은 나르시시스트들에게 쉽게 휘둘리며
쉽게 휘둘리는 사람들을 나르시시스트들이 좋아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사람들은 나르시시스트에게 잘 스며들 수 있고, 그로 인해 잘못된 가치관을 가질 수가 있습니다.

나르시시스트가 왜 만들어지는가

나르시시스트는 어떻게 만들어지는 걸까요?

아직 유전에 의한 연구 결과는 없다고 합니다.
보통 부모의 후천적인 양육방식이 나르시시스트를 육성하며,
그중
"부모의 과한 칭찬이 아이를 나르시시즘에 빠뜨린다."라고 합니다.


여기서 김경일 교수님은 작은 일을 했는데도 과하게 칭찬하는 것은 위험하다고 말합니다.

우리 아이를 나르시시스트로 만들지 않기 위해서는
1.적절한 칭찬을 해주어야 하며,
2.비교하는 칭찬을 조심해야 한다고 합니다.

과도한 칭찬이 아이를 나르시시스트로 만들어 성인이 되었을 때
자기보다 못한 사람들만 만나게 되는 악순환을 만들 수 있으며,
자기가 배울 점이 있는 사람은 끌어내리는 사람으로 변하게 된다고 합니다.


마지막으로 3.부끄러움, 수치심, 슬픔과 같은 부정적인 감정을 억제시키지 말고
제대로 느끼고 표현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한다고 말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부정적 감정을 제대로 느끼게 해주는 것입니다.

그것을 받아 들 일 수 있도록 잘 이끌어 주는 것이 좋습니다.

나르시시스트는 타고난 것이 아니기 때문에
변화가 가능하다고 합니다.

하지만 시간이 가면 갈수록 2배 3배 고치기가 힘들기 때문에
어릴 때 이러한 성향을 자녀가 보인다면 부모가 빨리 고쳐주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이번에 "타인의 심리 읽어드립니다"에서 나르시시스트에 관한 이야기를 보았습니다.

영상을 보다 보니 내 주변에도
이러한 사람이 있지 않나라는 생각을 해보게 되었고

나도 이러한 성향을 가지고 있지는 않은가를
되돌아보게 된 영상이 아니었나 싶습니다.







긴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