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소

내구성과 효율이 좋은 수전해 촉매 기술 개발

반응형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물을 수소와 산소로 나누는 "수전해 기술"은 수소사회에서 궁극적으로 

원하고 있는 그린 수소에 중요한 기술입니다. 

하지만 수전해기술은 생산할 때의 값이 비싸서 현재로서는 상용화되기가 어려운데

동아사이언스의 기사에 따르면 수전해의 효율과 내구성을 모두 잡는 촉매가 나왔다고 합니다. 

 

8일 울산과학기술원 (UNIST)은 박혜성 신소재공학과 교수와 한영규 동국대 융합에너지 신소재공학과 교수 공동연구팀이

값비싼 귀금속을 쓰지 않는 수전해 촉매 기술을 개발하였다고 밝혔습니다. 

 

촉매는 전극에서 발생하는 화학반응의 소모 에너지를 낮춰 화학반응을 더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공동연구팀이 개발한 촉매는 수전해 장비의 음극과 양극 모두에 코팅해서 쓸 수 있다고 합니다. 

 

일반적으로는 음극과 양극에서 각각 수소와 산소가 나오는 다른 반응이 일어나기에 음극과 양극에 다른 촉매를 쓴다고 하는데요. 

 

그리고 촉매 제조 공정도 작은 쇠구슬이 담긴 원통 용기에 원료를 넣고 돌리기만 하면 될 정도로 간단하다고 합니다. 

 

이 촉매는 1㎠ 크기 전극에 100밀리암페어(mA)의 전류를 흘리는 실험에서도 2500시간 이상 안정적으로 작동하여 

일반적인 수전해 촉매가 가지고 있던 내구성 문제에서도 좋은 모습을 보인 듯합니다. 

 

박혜성 교수는 수전해 기술 상용화를 위해서는 촉매 효율 자체도 좋아야 하지만 촉매를 값싼 공정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어야 하고 수명도 길어야 한다고 설명했으며, 이번 연구로 이 같은 조건을 동시에 만족하는 촉매를 개발했다고 전했습니다.

 


 

과연 이번 공동연구팀이 개발한 수전해 촉매가 그린 수소의 시대를 앞당길 수 있을지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좋은 연구로 친환경시대를 앞당길 수 있기를 희망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