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

경제용어 : 경기동향지수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도 핫동이 입니다.!

 

 

 

오늘은 금융용어에 대해 정리하기 위해

글을 써보려고 합니다.

 

 

두 번째 금융용어는

 

 

"경기동향지수"

입니다.

 

 

 

경기동향지수에 대해 설명하기 전에

 

 

알아야 할 것이 있습니다.

 

 

 

 

"경기와 경기 종합지수"

 

 

 

이 단어들에 대해 먼저 알아보고자 합니다.

 


 

경기?

 

business condition으로

일상생활에서 경제적인 형편

뜻하는 말로 자주 사용됩니다.

 

 

 

요즘 경기가 좋다, 경기가 나쁘다처럼

일상 생활에서 많이 들어보셨을 거라 생각됩니다.

 

 

 

 

경기를 판단하는 방법

 

- 생산, 투자, 고용, 수출 등 경제 각 부문의 여러 경제지표의 움직임을 분석하는 방법

 

- 기업가나 소비자들의 경기판단 및 전망 설문조사 결과에 의한 방법

 

 

 

알아두자!

 

1) 기업의 매출이 늘고, 이익이 많이 남으면 경기가 좋다고 할 수 있음

 

 

2) 임금이 인상되거나 주식, 부동산 등의 자산 가격이 올라 살림이 좋아지면 경기가 좋다고 느낄 수 있음

 

 

3) 경기가 좋다는 것은 생산, 소비, 투자 등의 경제 활동이 평균 수준 이상으로  활발한 경우를 의미함

 



 

4) 경기는 호황기 → 후퇴기 → 불황기 → 회복기 → 호황기를 반복하며

경기의 일정한 움직임이 되풀이되는 것을 경기의 순환이라고 함

 

 

5) 경기의 순환 과정에는 4가지의 속성이 있다.

 

확장 국면과 수축 국면이 교대로 되풀이되는 반복성

확장 및 수축 양상이 시차를 두고 경제 각 부문에 전달되는 파급성

여러 측면의 경제활동을 포괄하는 다양성

일정한 방향으로 계속 확대해 나가는 지속성


 

경기 종합지수란?

 

국민경제 전체의 경기동향을 쉽게 파악하고

예측하기 위하여

 

 

주요 경제 지표의 움직임을

 가공· 종합하여 지수 형태로 나타낸 것을 말합니다.

 

 

약칭으로 CI(Composite index)라고 합니다.

 


경기동향지수(Diffusion index)

 

 

1972년부터 한국은행에서 매월 작성 중이며

 

 

경기 종합지수와는 다르게

경기 변동의 진폭이나 속도를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변화 방향만 파악하는 지수

 

경기확산지수라고도 함

 

 

 

(경제지표 간의 연관관계는 고려하지 않으며,

변동 방향만을  종합하여 지수로 만든다고 합니다.)

 

→ 계절 변동과 불규칙 요인이 제거된 전체 계열 중 전월에 비해

증가한 지표수가 차지하는 비중으로 나타냄

 

ex) 10개 대표 계열 중 7개의 지표가 증가 → 경기확산지수 70%

 

 

→ 경기동향지수가 50 초과면 경기는 확장국면

→ 경기동향지수가 50 미만이면 경기는 수축국면

→50은 경기 전환점

 

경기동향지수는

경기변동이 경제의 특정 부문으로부터

전체 경제로 "확산, 파급" 되는 과정을

 

경제부문을 대표하는 각 지표들을 통하여

파악하기 위한 지표입니다.

 

 


계산 방식 →

경기확산지수= [전기보다 확장 중에 있는 지표수 ÷ 모든 경기 지표수] × 100

 

 

 

장점과 단점

 

장점 → 경기 변동의 단기 예측이 가능하다는 점

 

단점 → 변화와 방향만을 측정하기에 지수가 20일 때에서 40이 되었다고

그 속도가 2배라고 할 수 없습니다.

즉, 정말 방향만을 알 수 있지 속도나 진폭은 알 수가 없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지표가 과거의 경험에 의존한 시계열의 통계적 수치에 불과하다고 합니다.

 

 


 

 

오늘은 경제용어 경기동향지수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조금씩 경제용어를 공부해서

어려운 경제에 한 발짝 다가섰으면 좋겠습니다.

 

 

 

 

 

 

이만 글을 마칩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용어 정리1탄  (0) 2021.04.13
인플레이션 알고보자  (0) 2021.03.19
경제용어 : 가산금리  (0) 2021.01.13
금융 문맹에서 벗어나자  (0) 2021.01.09
피터린치 명연설  (0) 2020.1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