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동차

편제동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도 공부하는 핫동이 입니다!
책, <내 차 알고타면 이익이다>의 편제동에 대한 내용을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참고로 2004년에 출간된 책이다보니
지금과는 많이 다를 수도 있습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거나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에 남겨주세요.
공부해서 남겨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편제동?
브레이크가 네 바퀴에 고르게 듣지 않고 어느 특정 바퀴에만 강하게 듣는 현상을 말합니다.

브레이크의 역할
운전자가 원하는 대로 자동차의 속력을 줄이거나 멈추는 것뿐 아니라
자동차의 자세를 안정되게 유지하면서 제동시켜 주는 것도 포함합니다.

브레이크를 밟을 때 옆 차를 들이받을 듯이 홱 쏠리는 차를 운전하는 것만큼 위험한 차량은 없을 것입니다.
그만큼 편제동이 발생하는 브레이크는 위험합니다.

편제동이 일어나는 이유?
편제동은 휠 얼라인먼트 (차륜 정렬)가 어긋나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휠 얼라인먼트 - 바퀴가 차체에 장착된 각도를 미세 조정하는 작업입니다.

자동차는 고속으로 주행하므로 높은 안정성이 요구되는데,
휠 얼라인먼트 각도가 어긋나면 주행 안정성이 떨어집니다.

큰 사고를 겪어 차체가 틀어지거나 변형이 생긴 차량이라면 휠 얼라인먼트 작업을 하기 전에
사고 내용을 설명해 주어야 기사가 그 사실을 감안해서 조정할 수 있습니다.

또 다른 이유
휠 얼라인먼트 외에 편제동이 발생하는 원인으로는 좌우 타이어 공기압이 다른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
좌우 타이어 공기압이 다르면 접지 면적도 달라지고 지면에 대한 마찰력도 서로 다르기 때문에
제동력이 좌우 동일하지 않으므로 편제동이 발생합니다.

휠 얼라인먼트나 타이어 공기압도 정상이라면
편제동의 이유는 좌우 제동력이 균등하게 걸리지 않아서일 수도 있습니다.

브레이크 패드를 양쪽에서 눌러 브레이크 디스크에 압착시켜 주는 캘리퍼는 브레이크 작동에 맞춰
미세한 거리를 매끈하게 왕복해야합니다.
캘리퍼의 움직임을 윤활해 주는 부분은 주름 고무로 보호되어 있는데,
주름 고무가 찢어지거나 벗겨지면 빗물이 스며들어 윤활 부분을 녹슬게 해서 캘리퍼의 매끄러운 움직임을 방해한다고 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현상이 발생한 부분의 브레이크가 잘 듣지 않게 되어 편제동이 발생한다고 합니다.


오늘은 편제동에 대한 정리를 해보았습니다.
실제로 겪어본적은 없지만
편제동이 어떤 것인지를 보니 만약 증상을 느끼게 되면
빨리 수리를 해야할 것 입니다.

긴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길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