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도 공부하는 핫동이 입니다!
주린이의 삶을 살고 있는 저는
또 다른 하나의 소득원을 늘리기 위해서 주식을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매일 매일 주식 공부를 하면서 실력을 키워나가려 합니다.
오늘은 주식 공부에 도움이 되기 위한 글을 정리해보려 합니다.
주식 시장에서는 기사나 기업 공시 등 주가에 변동을 주는 요인들이 있습니다.
이를 우리는 재료라고 부르며, 좋은 재료인 호재와 나쁜 재료인 악재 두 가지로 분류합니다.
어떤 것들이 호재이며, 어떤 것들이 악재일까요?
호재성 재료
주가를 올리는 호재료를 알아보도록 하시죠.
1. 영업실적이 좋아진다.
영업실적이 좋아진다는 것은 경영이 아주 잘되고 있다는 뜻이고, 경영이 잘된다는 것은
회사가 앞으로 성장할 것이라는 보여주기 때문에 최고의 호재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영업환경이 좋아진다.
유가 하락이나 재료비 절감에 의해 영업환경이 개선되는 것은 호재입니다.
3. 재무구조가 좋아진다.
매년 적자를 기록하다가 흑자를 기록하게 되면서 회사의 재무적인 구조가 좋아지면
주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4. 신소재, 신약, 신기술 개발
회사에서 미래를 위한 신기술 개발은 주가 상승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특허나 영업권을 취득하는 것도 경쟁 회사들보다 독보적인 위치에
오를 수 있는 호재가 될 것입니다.
5. 새로운 사업에 진출
미래 산업의 방향을 예측하여 기존으로 하고 있는 사업 뿐만 아니라
새로운 사업에 진출하는 것도 호재가 될 수 있습니다.
철강쪽으로 강한 포스코는 새로운 시대가 열릴 수소 분야에 새로운 사업 진출한 것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6. 무상, 유상 증자
주식회사의 주식 발행을 늘리는 것을 증자라고 합니다.
돈을 받지 않고 주식을 발행해주는 것을 무상증자
돈을 받고 주식을 발행해주는 것을 유상증자라고 하는데
증자는 호재가 될 수도 있고 악재가 될 수도 있습니다.
7. 액면분할
주식의 액면가액을 분할하여 주식수를 늘리는 것을 액면분할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면 이번에 카카오가 40만원이 넘는 주식을 액면분할을 하여 12만원이 되었습니다.
액면분할을 할 경우 예전부터 사고 싶었지만 너무 비싸서 사지 못했던 사람들에게
살 기회를 제공하여 주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8. 대주주 및 임직원의 주식 매수
대주주나 임직원이 주식을 매수한다는 것은 그만큼 회사의 상황이 좋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주식을 매도한다는 소식은 악재로 반응할 것입니다.
10. 경쟁사의 대형 악재 발생
경쟁사에서 악재가 발생한다는 것은 내가 가지고 있는 회사에게는 호재가 될 수 있습니다.
11. 외국인, 기관의 매집
외국인과 기관은 아주 큰 자금을 운영합니다. 그리고 우리보다 먼저 좋은 정보를 알고 있을 수도 있습니다.
외국인,기관과 같은 큰손들의 매집은 호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12. M&A 및 경영권 분쟁
현대차가 로봇회사인 보스턴다이나믹스와 인수합병이 호재로 작용한 적이 있습니다.
회사를 위한 인수합병은 호재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경영권 분쟁을 위해 회사끼리 싸우는 적대적 M&A는 분쟁 중에도 주가가 오를 수 있다고 합니다.
제가 정리한 것 말고도 주가를 올리는 호재가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주가는 항상 선반영을 하기 때문에 정리해드린 호재성 기사가 났더라도
주가를 잘 살피면서 들어가는 습관을 가져야 될 것입니다!.
다음에는 호재가 아닌 악재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긴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되세요!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매매 스타일 : 단타, 스윙, 중장기에 대하여 (0) | 2021.05.16 |
---|---|
악재성 재료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0) | 2021.04.28 |
주린이 명심사항 5가지 (0) | 2021.04.25 |
주린이를 위한 주의사항 (0) | 2021.04.24 |
주식용어정리 2탄 (0) | 2021.04.22 |